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용어에 매출액, 매출 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 주당순이익의 뜻과 서로의관계를 알아보자

by sosoribaram 2025. 11. 15.

동전이 쌓여있는 사진

주식을 하면 기업의 손익계산서를 보게 되는데 여기에 나오는 매출액, 매출 총이익, 영업이익, 순이익, 주당 순이익등을 알아보고 서로의 관계를 알아보자

1. 정의

구분 의미 계산 방법 설명
매출액 (Sales, Revenue)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해 벌어들인 총 금액 판매수량 × 판매단가 가게의 하루 총 매출금
매출총이익 (Gross Profit) 매출액에서 제품을 만드는 데 직접 든 비용(매출원가)을 뺀 금액 매출액 − 매출원가 물건 팔아서 남은 1차 수익
영업이익 (Operating Profit) 매출총이익에서 인건비, 임대료, 광고비 등 영업활동 관련 비용을 뺀 금액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본업으로 번 실질적인 이익
순이익 (Net Profit) 영업이익에서 이자, 세금 등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남는 이익 영업이익 − (이자비용 + 세금 등) 회사가 실제로 손에 쥐는 순수익
주당순이익 (EPS, Earnings Per Share) 회사가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1주당으로 나눈 값 순이익 ÷ 발행주식수 주주 한 명당 한 주가 벌어들인 돈

정리하면

매출액 → 매출총이익 → 영업이익 → 순이익 → 주당순이익 순으로

회사돈이 저점 순수익 형태로 만들어져 나간다.

2. 관계 요약표

단계 지표 계산 공식 의미
1단계 매출액 (Revenue) 상품 판매 총액 회사가 번 전체 돈의 규모
2단계 매출총이익 (Gross Profit) 매출액 − 매출원가 제품·서비스를 팔아서 남은 기본 이익
3단계 영업이익 (Operating Profit) 매출총이익 − 판매관리비 회사의 본업으로 번 실질 영업 성과
4단계 순이익 (Net Profit) 영업이익 − (이자비용 + 세금 등) 모든 비용을 뺀 최종 수익
5단계 주당순이익 (EPS) 순이익 ÷ 발행주식수 1주당 회사가 벌어들인 순이익의 크기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인건비, 임대료 = 영업이익 - 이자, 세금 = 순이익 ÷ 발행주식 수 = 주당순이익(EPS)

노트북 화면

3. 관계 정리

매출액이 커질 수록 기존적으로 이익도 커질 가능성이 높지만

원가나 비용이 많으면 영업이익, 순이익이 줄어든다.

 

영업이익이 높다는건, 본업 자체가 건강하다는 의미이다.

 

순이익이 높다면 재무상태 ( 이자, 세금 부담 등 )도 안정적이다.

 

주당순이익 ( EPS ) 은 주주 입장에서 회사의 1주당 수익성을 보는지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