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서는 투자자가 알아야 할 주식지표 ROE, ROA , EPS를 알아보자. 이 세가지는 기업의 수익성과 경영 효율성, 그리고 주당 이익 규모를 판단하는 기본 지표이므로 꼭 알아야한다.
1. ROE :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 이익률
내가 투자한 자기자본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구분 | 내용 |
| 공식 |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 의미 | 주주의 돈(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를 보여줌 |
| 높을 수록 좋은 이유 | 같은 돈으로 더 많은 이익을 냈다는 뜻 : 경영 효율 우수 |
| 적정 기준 | 일반적으로 10% 이상이면 우량, 20% 이상이면 고수익 기업으로 평가 |
예를 들면
A기업 : 순이익 1,000억 / 자기자본 5,000억, ROE = 20%
B기업 : 순이익 1,000억 / 자기자본 10,000억, ROE = 10%
A기업이 같은 이익이라도 자본 활용 효율이 더 좋다.
ROE는 주주입장에서 보는 수익성 지표이다. 즉 투자대비 수익률을 보는것과 같다.
2. ROA : Return On Assets, 총자산 이익률
회사가 가진 전체 자산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구분 | 내용 |
| 공식 | ROA =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 |
| 의미 | 기업이 보유한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가를 보여준다. |
| ROA 와 ROE 의 차이 | ROA는 전체 자산 기준, ROE는 주주자본 기준 : 부채가 많을수록 ROE는 높고, ROA는 낮게 나타남 |
| 적정 기준 | 일반적으로 5% 이상이면 양호이다 |
예를 들면
A기업 순이익 500억 / 총 자산 10,000억 : ROA = 5%
B기업 순이익 500억 / 총자산 5,000억 : ROA = 10%
B기업이 자산을 더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ROA는 기업 전체 효율성을 보는 지표이다. 은행, 보험사 처럼 자산규모가 큰 산업은 ROA가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온다.
3. EPS :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주식 한 주당 얼마의 순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구분 | 내용 |
| 공식 |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
| 의미 | 1주가 벌어들이는 순이익, 즉 주주가치의 핵심 지표이다 |
| 높을 수록 좋은 이유 | 한 주가 창출하는 이익이 크므로, 주가 상승 잠재력 높다 |
| 활용 예시 | PER( 주가수익비율 ) 계산 시 사용 : PER = 주가 ÷ EPS |
| 공식 | |
| 의미 | |
| 높을수록 좋은 이유 | |
| 활용 예시 |
예를 들면
A기업 순이익 1,000억, 발행 주식수 1억주 : EPS = 1,000원
B기업 순이익 500억, 발행 주식수 1억주 : EPS = 500원
A기업의 이익 창출력이 두배 강함
EPS가 꾸준히 상승한다면 그 기업의 성장성과 주가 상승 여력이 높다고 평가하면 된다.

4. ROE, ROA, EPS 비교 요약표
| 구분 | 의미 | 계산식 | 초점 | 높을 수록 좋음 | 주요 활용 |
| ROE | 자기자본이익률 | 순이익 ÷ 자기자본 | 주주 입장 수익률 | O | 경영 효율성, 주주수익 |
| ROA | 총자삭이익률 | 순이익 ÷ 총자산 | 전체 자산 효율성 | O | 기업 전체 운영 효율 |
| EPS | 주당순이익 | 순이익 ÷ 주식수 | 주당 이익 규모 | O | PER 계산, 주가 비교 |
5. 같이보면 좋은 연결 지표
PER ( 주가수익비율 ) = 주가 ÷ EPS : 주각가 이익 대비 비싼지 평가한다.
PBR ( 주가순자산비율 ) = 주가 ÷ 주당순자산 : 자산 대비 주가 수준
ROE 높고, PER 낮은 기업은 일반적으로 저평가 우량주로 평가된다.